이곳은 조선조의 문신(文臣)이요 국문학의 최고봉으로 손꼽히며 시조시인으로 일컫는 고산 윤선도(1587~1671) 선생의 박물관이다. 고산의 자는 약이(約而), 호는 고산(孤山) 또는 해옹(海翁)이다. 고산은 광해 4년(1612년)에 진사가 되고, 4년 후 성균관 유생으로서 이이첨 일파의 불의를 규탄하는 상소인 병진소(丙辰疏)를 올렸다가 함경도 경원으로 유배되었다.
광해 15년(1623년)에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유배에서 풀려나 의금부도사에 취임하였으나 곧 사직하고 이곳 해남 향리에서 학문에 정진하였다. 인조 6년(1628년) 별시 문과에 장원급제한 후 봉림대군과 인평대군의 왕자사부가 되고 한성서윤과 예조정랑을 역임하는 등 수차에 걸쳐 나라에 중용되었다.
[ 고산윤선도 작품 - 산중신곡, 어부사시사, 고산연보, 금쇄동집고, 금쇄동기 등... 다수의 문학작품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병자호란 후에는 주로 해남의 금쇄동과 수정동, 완도의 보길도에 은거하며 자연에 들어 원림을 경영하고 『산중신곡』 과 『어부사시사』 등 불후의 명작을 써서 국문학의 발전에 큰 공을 남겼으며 은둔 생활 중에 조성한 원림을 통해 전통 조경문화에도 큰 흔적을 남겼다.
효종의 부름으로 벼슬에도 나아갔으나 당쟁으로 다시 유배당하는 등 파란 많은 인생을 살다가 1671년(현종 12년) 85세로 돌아가셨다. 숙종 원년에 신원되어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시호를 충헌(忠憲)이라 하였다.
[ 녹우당 사랑채, 안채, 어초은사당, 고산사당, 추원당 등..]
이곳 박물관에는 해남윤씨 녹우당(사적 제67호) 고택과 어초은사당, 고산사당, 추원당이 있고 고산윤선도 유물전시관에는 공재 윤두서(1668~1715)의 자화상(국보 제240호)을 비롯하여 해남윤씨가전고화첩(보물 제481호), 윤고산수적관계문서(보물 제482호), 지정14년노비문서(보물 제483호) 등 많은 문화재와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덕음산 중턱에 있는 비자나무숲(천연기념물 제241호)은 약 500년 전에 조성된 것으로 400여 그루가 숲을 이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