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콘:university} 고산박물관 소개 > 고산윤선도 유물전시관

고산박물관 소개

고산유물전시관 사진

이곳은 조선조의 문신(文臣)이요 국문학의 최고봉으로 손꼽히며 시조시인으로 일컫는 고산 윤선도(1587~1671) 선생의 박물관이다. 고산의 자는 약이(約而), 호는 고산(孤山) 또는 해옹(海翁)이다. 고산은 광해 4년(1612년)에 진사가 되고, 4년 후 성균관 유생으로서 이이첨 일파의 불의를 규탄하는 상소인 병진소(丙辰疏)를 올렸다가 함경도 경원으로 유배되었다.

광해 15년(1623년)에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유배에서 풀려나 의금부도사에 취임하였으나 곧 사직하고 이곳 해남 향리에서 학문에 정진하였다. 인조 6년(1628년) 별시 문과에 장원급제한 후 봉림대군과 인평대군의 왕자사부가 되고 한성서윤과 예조정랑을 역임하는 등 수차에 걸쳐 나라에 중용되었다.

[ 고산윤선도 작품 - 산중신곡, 어부사시사, 고산연보, 금쇄동집고, 금쇄동기 등... 다수의 문학작품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산중신곡이미지
[ 산중신곡 (山中新曲) ]
고산선생이 경상북도 영덕 유배에서 풀려나 고향 해남에 돌아온 후 현산면 금쇄동에서 은거생활을 하며 56세에 완성한 시조집
금쇄동기이미지
[ 금쇄동기 (金鎖洞記) ]
고산은 54세 때인 1640년 금쇄동을 발견하고 이곳의 지형과 산세의 아름다움을 노래하였으며 자연 22곳에 직접 이름을 부여하였다.
금쇄동집고이미지
[ 금쇄동집고 (金鎖洞集古) ]
고산선생이 금쇄동에서 은거생활 할 때 도연명, 이백, 백거이 등 중국의 여러 시인들의 시구를 모아 첩으로 묶은 것.
고산연보이미지
[ 고산연보 (孤山年譜) ]
고산의 주요 일대기를 기록한 것으로 고산선생의 아들 윤직미(학관)가 편한것과 외손인 약봉심단이 기록해 놓은것이 있다.

병자호란 후에는 주로 해남의 금쇄동과 수정동, 완도의 보길도에 은거하며 자연에 들어 원림을 경영하고 『산중신곡』『어부사시사』 등 불후의 명작을 써서 국문학의 발전에 큰 공을 남겼으며 은둔 생활 중에 조성한 원림을 통해 전통 조경문화에도 큰 흔적을 남겼다.

효종의 부름으로 벼슬에도 나아갔으나 당쟁으로 다시 유배당하는 등 파란 많은 인생을 살다가 1671년(현종 12년) 85세로 돌아가셨다. 숙종 원년에 신원되어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시호를 충헌(忠憲)이라 하였다.

[ 녹우당 사랑채, 안채, 어초은사당, 고산사당, 추원당 등..]

녹우당사랑채이미지
녹우당 - 사랑채
사랑채는 녹우당에서 상징적인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사랑채는 사대부가에서 남자들의 중심 공간이라 할 수 있는데, 공재 윤두서의 절친한 친구였던 옥동 이서가 써준 '녹우당(綠雨堂)' 현판이 붙어 있어 더욱 상징성을 띠게 한다.
녹우당안채이미지
녹우당- 안채
안채는 현재 종손이 거처하고 있는 곳이다. 녹우당은 전체적으로 'ㅁ'자형 구조를 이루고 있으나 사랑채 옆으로 들어서면서 'ㄷ'자 형으로 자리 잡고있다. 건물은 서쪽으로 중앙에 3칸 대청을 두고 좌 우 아래로 방과 부엌, 창고 등을 적절히 배치하고 있다.
어초은사당 이미지
어초은사당
어초은 사당은 어초은 묘 아래에 있으며 매월 음력 11월 15일 이 사당에서 시제사를 지낸다. 어초은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맛배지붕 건물로 전면 반칸 폭에 툇마루를 설치하였다.
고산사당이미지
고산사당
고산 사당은 영조3년에 불천지위(不遷之位)로 지정되어 모셔지고 있다. 불천지위는 4대조를 모시고 묘로 가는 대신 영구히 사당에서 모실 수 있게 하고 있는데 보통 국가에서 공이 인정될 때 나라에서 허락한 신위이다.

이곳 박물관에는 해남윤씨 녹우당(사적 제67호) 고택과 어초은사당, 고산사당, 추원당이 있고 고산윤선도 유물전시관에는 공재 윤두서(1668~1715)의 자화상(국보 제240호)을 비롯하여 해남윤씨가전고화첩(보물 제481호), 윤고산수적관계문서(보물 제482호), 지정14년노비문서(보물 제483호) 등 많은 문화재와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덕음산 중턱에 있는 비자나무숲(천연기념물 제241호)은 약 500년 전에 조성된 것으로 400여 그루가 숲을 이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