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박물관
세상·사람, 그리고 자연을 노래한 시인
고산윤선도 박물관 소개
조선조의 문신(文臣)이요 국문학의 최고봉으로 손꼽히며
시조시인으로 일컫는 고산 윤선도(1587~1671) 선생의 박물관이다.
고산의 자는 약이(約而), 호는 고산(孤山) 또는 해옹(海翁)이다. 고산은 광해 4년(1612년)에 진사가 되고, 4년 후 성균관 유생으로서 이이첨 일파의 불의를 규탄하는 상소인 병진소(丙辰疏)를 올렸다가 함경도 경원으로 유배되었다.
광해 15년(1623년)에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유배에서 풀려나 의금부도사에 취임하였으나 곧 사직하고 이곳 해남 향리에서 학문에 정진하였다. 인조 6년(1628년) 별시 문과에 장원급제한 후 봉림대군과 인평대군의 왕자사부가 되고 한성서윤과 예조정랑을 역임하는 등 수차에 걸쳐 나라에 중용되었다.
병자호란 후에는 주로 해남의 금쇄동과 수정동, 완도의 보길도에 은거하며 자연에 들어 원림을 경영하고 『산중신곡』 과 『어부사시사』 등 불후의 명작을 써서 국문학의 발전에 큰 공을 남겼으며 은둔 생활 중에 조성한 원림을 통해 전통 조경문화에도 큰 흔적을 남겼다.
효종의 부름으로 벼슬에도 나아갔으나 당쟁으로 다시 유배당하는 등 파란 많은 인생을 살다가 1671년(현종 12년) 85세로 돌아가셨다. 숙종 원년에 신원되어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시호를 충헌(忠憲)이라 하였다.
이곳 박물관에는 해남윤씨 녹우당(사적 제67호) 고택과 어초은사당, 고산사당, 추원당이 있고 고산윤선도 유물전시관에는 공재 윤두서(1668~1715)의 자화상(국보 제240호)을 비롯하여 해남윤씨가전고화첩(보물 제481호), 윤고산수적관계문서(보물 제482호), 지정14년노비문서(보물 제483호) 등 많은 문화재와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덕음산 중턱에 있는 비자나무숲(천연기념물 제241호)은 약 500년 전에 조성된 것으로 400여 그루가 숲을 이루고 있다.
고산윤선도 작품
산중신곡, 어부사시사, 고산연보, 금쇄동집고, 금쇄동기 등... 다수의 문학작품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
산중신곡(山中新曲)
고산선생이 경상북도 영덕 유배에서 풀려나 고향 해남에 돌아온 후 현산면 금쇄동에서 은거생활을 하며 56세에 완성한 시조집
-
금쇄동기(金鎖洞記)
고산은 54세 때인 1640년 금쇄동을 발견하고 이곳의 지형과 산세의 아름다움을 노래하였으며 자연 22곳에 직접 이름을 부여하였다.
-
금쇄동집고(金鎖洞集古)
고산선생이 금쇄동에서 은거생활 할 때 도연명, 이백, 백거이 등 중국의 여러 시인들의 시구를 모아 첩으로 묶은 것.
-
고산연보(孤山年譜)
고산의 주요 일대기를 기록한 것으로 고산선생의 아들 윤직미(학관)가 편한것과 외손인 약봉심단이 기록해 놓은것이 있다
녹우당 건축물
-
녹우당 - 사랑채
사랑채는 녹우당에서 상징적인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사랑채는 사대부가에서 남자들의 중심 공간이라 할 수 있는데, 공재 윤두서의 절친한 친구였던 옥동 이서가 써준 '녹우당(綠雨堂)' 현판이 붙어 있어 더욱 상징성을 띠게 한다.
-
녹우당- 안채
안채는 현재 종손이 거처하고 있는 곳이다. 녹우당은 전체적으로 'ㅁ'자형 구조를 이루고 있으나 사랑채 옆으로 들어서면서 'ㄷ'자 형으로 자리 잡고있다. 건물은 서쪽으로 중앙에 3칸 대청을 두고 좌 우 아래로 방과 부엌, 창고 등을 적절히 배치하고 있다.
-
어초은사당
어초은 사당은 어초은 묘 아래에 있으며 매월 음력 11월 15일 이 사당에서 시제사를 지낸다. 어초은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맛배지붕 건물로 전면 반칸 폭에 툇마루를 설치하였다.